카드뉴스

식품용 기구·용기·포장 과불화화합물 이렇게 관리하고 있어요!
  • 등록일 2024-06-28
  • 조회수 55914
식품용 기구·용기·포장 과불화화합물 이렇게 관리하고 있어요!
-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에는 과불화화합물 사용을 금지하고 있어요!

Q. 과불화화합물은 무엇인가요?
과불화화합물은 탄화수소의 기본 골격 중 수소가 불소로 치환된 형태의 과불화술폰산류와 과불화지방산류 및 그 염류 등 여러가지 화합물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PFOA와 PFOS가 있습니다.

Q. 과불화화하물은 어디에 사용되나요?
계면활성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열에 강하고, 물이나 기름 등이 쉽게 스며들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특성이 있어 산업계 전반에 걸쳐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습니다.
- 의류,카펫,기구,신발
- 페인트, 니스, 왁스. 인화지
- 금속도금, 살충제, 석유생산
- 반도체 및 LCD 제조
- 마루광택제, 소방약제, 세척제
- 컬러프린터기, 복사기, 항공기

Q. 과불화화합물은 위험한가요?
과불화화합물은 자연적으로 잘 분해되지 않는 난분해성을 갖는 잔류성 유기화합물질의 일종으로 환경 전반에 걸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체내에서 안정성이 높아 과불화화합물의 일종인 PFOA와 PFOS의 경우, 인체에 대한 반감기는 3.8~5.4년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PFOS는 1군(인체발암가능물질), PFODS는 2군(인체발암가능물질)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Q. 불소수지는 과불화화합물이 아닌가요?
불소수지는 불소(F)를 함유하는 플라스틱들을 말하며, 테프론이란 상품명으로 알려져 있는 PTFE가 대표적 물질입니다. 불소수지와 과불화화합물과 전혀 다른 물질입니다.

Q. 불소수지 코팅 프라이팬에도 과불화화합물이 들어 있나요?
과거 불소수지 제조시 PFOA가 가공보조제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 PFOA를 사용하지 않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에선 식품용 기구·용기·포장에 PFOA를 포함한 과불화화합물의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가공보조제: 합성수지 제조 시, 반드시 필요한 원료물질은 아니며 보조적으로 첨가되는 유화제 등의 물질

.Q.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에서는 어떻게 관리하고 있나요?
식약처에서는 「기구 및 용기·포장의 기준 및 규격」을 통해 식품용 기구 등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① 잔류성오염물질로 지정하고 있는 과불화화합물 PFOS, PFOA, PFHxS 등 사용금지
·"기구 및 용기·포장 제조 시 「잔류성오염물질 관리법」(환경부) 등 관련 법령에서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고시 Ⅱ.가.5)항)
② 과불화화합물은 제외국에서 기구 및 용기·포장 제조 시 사용ㅇ할 수 있는 원료물질로 허용되어 있지 않아 사용금지
·"기구 및 용기·포장 제조 시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이거나 미국, 유럽연합 등 제외국에서 사용이 허용되어 있는 것으로서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이어야 한다."(고시 Ⅱ.가.4)항)

식품용 기구·용기에 대해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다면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정보포털 식품안전나라(foodsafetykorea.go.kr)에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부서 첨가물기준과

담당자 박지수

전화 043-719-2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