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1631건, 현재페이지 1/164
-
1631[대만] 식약서, 포도 중 테트라닐리프롤 잔류기준 설정 등 '농약잔류 허용량 표준' 개정
담당부서 | 위해정보과
조회수 | 1748
2025-03-13 -
1630[태국] 농업부, 중국으로 수출하는 두리안에 대해 'Basic Yellow 2' 색소 분석 결과 첨부할 것을 통보 받아
담당부서 | 위해정보과
조회수 | 2139
2025-03-10 -
1629[일본] 후생노동성, 식품용 PET병 프리폼의 취급에 대한 통지
담당부서 | 위해정보과
조회수 | 9414
2025-01-22 -
1628[미국] 식품의약품청, 식물성 분쇄육 및 식물성 분쇄 가금육 제품에 미오글로빈 사용을 위한 색소첨가물 규정 개정
담당부서 | 위해정보과
조회수 | 9470
2025-01-21 -
1627[미국] 식품의약품청, 영유아용 가공식품 중 납의 조치 수준에 대한 최종 지침 발표
담당부서 | 위해정보과
조회수 | 11556
2025-01-08 -
1626[뉴질랜드] 연방정부, 식품 수출업체를 위한 번거로운 절차 단축(라벨 면제 등 관련)
담당부서 | 위해정보과
조회수 | 16003
2024-12-11 -
1625[영국] 북아일랜드 보건부, 2026년부터 비통밀가루에 엽산 첨가 의무화
담당부서 | 위해정보과
조회수 | 17946
2024-11-27 -
1624[싱가포르] 싱가포르 식품청, 해외 공인된 가공 시설에서의 추가 가공육 및 알류 제품 수출 시 절차 개정
담당부서 | 위해정보과
조회수 | 19202
2024-11-19 -
1623[미국] 식품의약품청, '스콤브로톡신(히스타민) 형성 어류 및 어류 제품의 부패 및 히스타민' 정책준수지침 최종본 발표
담당부서 | 위해정보과
조회수 | 21348
2024-11-05 -
1622[중국] 시장감독관리총국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 '식품첨가물 Glyceryl mono-and distearate' 등 강제성 국가표준 5종 폐지에 관한 공고(2024년 제25호)
담당부서 | 위해정보과
조회수 | 21984
2024-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