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3 - 식품 수출안내서 - 일본편
P. 253
식품의 표시기준 별표 제24 (신선식품의 명칭)
식품의 표시기준 별표 제24 (신선식품의 명칭)
❍ 현미 및 정미
- 현미, 찹쌀정미, 배아정비 구분 표시
- 내용량, 제조열월일, 정미연월일, 수입연월일
- 사업자의 이름 또는 명칭 및 주소
❍ 시안화합물을 함유하는 콩류
Ⅶ
。
- 알레르기, 수입연월일, 첨가물, 제조업소의 명칭 또는 제조업자, 사용방법
부
록
❍ 표고버섯
- 재배방법: 원목, 균상, ‘원목·균상’, ‘균상·원목’ 구분 표시
❍ 아보카도, 살구, 앵두, 감귤류, 키위, 석류, 자두, 서양배, 천도복숭아, 파인애플, 바나나, 파
파야, 감자, 비파, 마르멜로, 망고, 복숭아, 사과
- 알레르기, 보관방법, 소비기한, 상미기한, 첨가물, 제조업소의 명칭 또는 제조업자
❍ 식육
- 알레르기, 보관방법, 소비기한 또는 상미기한, 첨가물, 제조업소의 명칭 또는 제조업자
- 육류의 종류(소, 말, 돼지, 양, 닭 등을 표시하고 내장의 경우에는 소간, 심장(말) 등으로 표시
하여야 하며 제품명에 표시된 경우에는 별도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 ‘중심부까지 충분히 가열하여 드시기 바랍니다’ 등의 가열조리가 필요하다는 문구 표시
- 생식용 제품인 경우 ‘생식용’의 구분 표시
- 도축장의 명칭 및 소재지, 제조업소의 명칭 및 소재지
- 식중독 위험 가능성이 있다는 주의 문구 표시
- 어린이, 고령자, 기타 식중독에 저항력이 약한 자는 식육의 생식을 삼가야한다는 의미의 문구
표시
❍ 생유(生乳), 생양 유 및 생 염소유
- 생유, 생양유, 생염소유 구분표시
- 생유 중 저지종 젖소에서 착유한 경우에는 저지종 젖소에서 착유했다는 점을 표시
❍ 달걀
- 알레르기, 보관방법, 상미기한, 첨가물, 채란시설 명칭 또는 작업자, 채란시설 소재지, 사용방법
- 생식용 제품인 경우 ‘생식용’의 구분 표시
- 섭씨 10도 이하에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문구 표시
식품의약품안전처 247